완원군파 4세 약사에는 총 8건의 인물자료가 존재합니다.

부흥도정(傅興都正) 1542∼1607    파명:완원군(完原君)
  부흥도정(傅興都正) [1542(중종 37)∼1607(선조 40)]
 휘는 몽열(夢說), 자는 사우(士遇), 호는 돈옹(遯翁). 완원군의 증손이고 의원군의 3남이다. 종친품계는 초수 정4품 부흥수(傅興守), 승차 정3품 당상 명선대부 부흥도정이다.
 1580년(선조 13) 종계(宗系)의 개정(改正)이 대명회전(大明會典) 조선국조(朝鮮國條)의 주(註) 태조고황제의 사실(事實) 부분이 기재 첨입되어 편찬이 끝났는데도 명(明)나라 신종(神宗)에게서 내림(頒賜)을 받지 못하여 조정에서 논의가 있었다. 이때 공은 율곡(栗谷) 이이(李珥) 등과 함께 의논하여 아뢰기를 “종계의 무고를 받음은 열성조에 욕이 크오니, 주청하는 사신은 마땅히 지성으로 명나라 조정을 감동시켜야 합니다. 일이 성공하면 환국하고 성공치 못하면 뼈를 연산(燕山)에 묻을 각오를 한 뒤에라야 가히 성사될 것입니다.”하고, 일의 진행상황에 따라 자유로이 응대할 만한 인재를 구할 것을 주청했다. 1590년(선조 23) 8월, 종계가 고쳐진 공적으로 수충공성익모수기광국공신(輸忠貢誠翼謨修紀光國功臣)의 훈권(勳券)을 내릴 때, 공은 종친품계 정3품인 증 명선대부 부흥도정으로 승차(陞差)했다.
 1596년(선조 29) 7월, `왜적의 재침을 막고 나라를 바로잡겠다\'라고 선동하여 동갑계회(同甲契會)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한 서얼 출신의 이몽학(李夢鶴)과 그 적도들이 충청도 홍산(鴻山)에서 난을 일으켜 임천 · 홍산 · 정산 · 청양 · 대흥 등의 고을을 함락한 뒤 홍주목(洪州牧 : 현재의 충청도 홍성)을 공격하려 하였다. 공은 이들을 토벌, 평정하는 대열에 참가하여 1604년(선조 37) 논공행상 때 분충출기합모적의청난원종공신(奮忠出氣合謀迪毅淸難原從功臣) 2등 훈권을 받았다.
 공은 말년에 서울을 떠나 충청 보령현 향장(鄕庄)으로 돌아갔다. 그 곳에서 지중추부사 지의금부사를 지낸 정곡(鼎谷) 조존성(趙存性), 영월도호부사를 지낸 이상우(李商雨) 등과 더불어 솔선하여 풍속을 교화하고 향약(鄕約)을 연구하여 정했다.
 공은 증 신부인(愼夫人) 광산김씨(1540∼1604)와의 사이에 형(珩) · 성(珹) · 곤(琨) · 완(琬) 등 4남과 1녀를 두었다. 1607년(선조 40) 10월 20일 별세하니, 향년 66세였다. 묘소는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마장리 선영 이성군 묘 월변 좌강 갑좌이며 배위 증 신부인 광산김씨가 향년 65세에 별세하니 부묘했다.
순흥군(順興君) 1544∼1611    파명:완원군(完原君)
예흥수(禮興守) 1547∼?    파명:완원군(完原君)
운흥정(雲興正) 1536∼1587    파명:완원군(完原君)
의원군(義原君) 1520∼1544    파명:완원군(完原君)
의천군(義泉君) 1524∼1578    파명:완원군(完原君)
이성군(伊城君) 1503∼1542    파명:완원군(完原君)
익흥수(益興守) 1549∼1592    파명:완원군(完原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