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해군파 현조약기에는 총 40건의 인물자료가 존재합니다.
언경(彦經) 1653∼1710 파명:영해군(寧海君)
  언경(彦經) [1653(효종 4)∼1710(숙종 36)]
자는 사상(士常), 호는 천유재(天遊齋). 죽와공 정린(廷麟)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정부인 광주김씨이다.
진사시에 합격하고, 1691년(숙종 17) 알성 문과 병과에 급제하여 20여 년 간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성균관 학유(學諭) · 시강원 설서 · 사헌부 지평 · 함평현감 · 지제교 · 암행어사 · 검전관(檢田官) · 서장관(書壯官) · 병조정랑 · 승지 · 사간원 대사간 · 충청도백 · 황해도백을 지냈다. 특히 황해도 도백 재임시에 납세의 공평을 위해 상정법(詳定法)을 만들어 반포하기도 하였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묘소는 충남 예산군 봉산면 구암리 식암산이고 묘비와 석물이 있다.
자는 사상(士常), 호는 천유재(天遊齋). 죽와공 정린(廷麟)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정부인 광주김씨이다.
진사시에 합격하고, 1691년(숙종 17) 알성 문과 병과에 급제하여 20여 년 간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성균관 학유(學諭) · 시강원 설서 · 사헌부 지평 · 함평현감 · 지제교 · 암행어사 · 검전관(檢田官) · 서장관(書壯官) · 병조정랑 · 승지 · 사간원 대사간 · 충청도백 · 황해도백을 지냈다. 특히 황해도 도백 재임시에 납세의 공평을 위해 상정법(詳定法)을 만들어 반포하기도 하였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묘소는 충남 예산군 봉산면 구암리 식암산이고 묘비와 석물이 있다.
언기(彦紀) 1640∼1702 파명:영해군(寧海君)
  언기(彦紀) [1640(인조 18)∼1702(숙종 28)]
자는 선경(善卿), 지평공 백린(伯麟)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정경부인 청송심씨이다.
사마시에 급제하고, 1687년(숙종 13) 식년 문과 을과에 급제, 동몽교관 · 현령 · 승정원 주서(注書) · 이조참판을 역임하고 외직인 개성유수를 지냈다.
묘소는 경기도 성남시 하대원동, 통례의 묘 아래에 배위와 함께 양위 합폄으로 있고 묘비와 석물이 있다.
자는 선경(善卿), 지평공 백린(伯麟)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정경부인 청송심씨이다.
사마시에 급제하고, 1687년(숙종 13) 식년 문과 을과에 급제, 동몽교관 · 현령 · 승정원 주서(注書) · 이조참판을 역임하고 외직인 개성유수를 지냈다.
묘소는 경기도 성남시 하대원동, 통례의 묘 아래에 배위와 함께 양위 합폄으로 있고 묘비와 석물이 있다.
여재(如梓) 1685∼1763 파명:영해군(寧海君)
  여재(如梓) [1685(숙종 11)∼1763(영조 39)]
자는 계직(季直), 호는 낙재(樂齋). 첨추(僉樞) 후(煦)의 아들이다.
1759년(영조 35)에 진사에 오르고 영릉참봉을 제수받았다. 판서 유최기(兪?基) · 좌랑 류일상(柳一相) · 지평 한상기(韓尙箕)와 도의교를 맺고 교유하였으며 학자들은 남주(南州)의 부자(夫子) 낙재선생이라 불렀다고 한다.
묘소는 전북 남원시 사매면 관풍리 산15의 1번지에 있다.
<낙재집(樂齋集)>이 있다.
자는 계직(季直), 호는 낙재(樂齋). 첨추(僉樞) 후(煦)의 아들이다.
1759년(영조 35)에 진사에 오르고 영릉참봉을 제수받았다. 판서 유최기(兪?基) · 좌랑 류일상(柳一相) · 지평 한상기(韓尙箕)와 도의교를 맺고 교유하였으며 학자들은 남주(南州)의 부자(夫子) 낙재선생이라 불렀다고 한다.
묘소는 전북 남원시 사매면 관풍리 산15의 1번지에 있다.
<낙재집(樂齋集)>이 있다.
용기(龍器) 1897∼1932 파명:영해군(寧海君)
  용기(龍器) [1897(광무 1)∼1932]
자는 중빈(重彬), 호는 성당(省堂), 일명 두기(斗器). 시산군의 13대손이며 교성(敎性)의 차남이다.
1919년 4월 3일 재종형 석기와 뜻을 같이 하여 남원 읍내에서 거사에 참여하였으나 체포되어 형무소에서 3년의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사숙을 열어 후손에게 민족혼을 심어 뒷날을 기하려 힘썼으나 모진 고문에 병들어 향년 36세로 별세하였다.
국가에서는 건국훈장 애족장으로 추서하고 묘 앞에 애국지사 형제로 지칭하여 기념비를 세웠다.
묘소는 전북 남원시 사매면 오신리에 있는 노은공 산소 왼편에 있다.
자는 중빈(重彬), 호는 성당(省堂), 일명 두기(斗器). 시산군의 13대손이며 교성(敎性)의 차남이다.
1919년 4월 3일 재종형 석기와 뜻을 같이 하여 남원 읍내에서 거사에 참여하였으나 체포되어 형무소에서 3년의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사숙을 열어 후손에게 민족혼을 심어 뒷날을 기하려 힘썼으나 모진 고문에 병들어 향년 36세로 별세하였다.
국가에서는 건국훈장 애족장으로 추서하고 묘 앞에 애국지사 형제로 지칭하여 기념비를 세웠다.
묘소는 전북 남원시 사매면 오신리에 있는 노은공 산소 왼편에 있다.
원묵(元默) 1767∼1831 파명:영해군(寧海君)
  원묵(元默) [1767(영조 43)∼1831(순조 31)]
자는 이성(而成), 양정(養鼎)의 외아들이며 어머니는 정부인 대구서씨이다.
18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를 모시고 학문과 덕행에 힘써 1798년(정조 22) 사마시에 급제하고, 1816년(순조 16) 50세 때 정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여러 관직을 거친 뒤 병조참판을 지냈다.
묘소는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 익헌공 산소 아래이다.
자는 이성(而成), 양정(養鼎)의 외아들이며 어머니는 정부인 대구서씨이다.
18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를 모시고 학문과 덕행에 힘써 1798년(정조 22) 사마시에 급제하고, 1816년(순조 16) 50세 때 정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여러 관직을 거친 뒤 병조참판을 지냈다.
묘소는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 익헌공 산소 아래이다.
원팔(元八) 1765∼1838 파명:영해군(寧海君)
  원팔(元八) [1765(영조 41)∼1838(헌종 4)]
자는 순거(舜擧), 지정(趾鼎)의 계자이며, 생부는 진사 이정(耳鼎)이고 생모는 한양조씨이다.
1790년(정조 14) 26세 때 증광문과 병과에 급제, 이조참판을 지냈다.
배위는 정부인 안동김씨로 진사 득추의 딸이다.
묘소는 광주 사기막동 유좌에 있다.
자는 순거(舜擧), 지정(趾鼎)의 계자이며, 생부는 진사 이정(耳鼎)이고 생모는 한양조씨이다.
1790년(정조 14) 26세 때 증광문과 병과에 급제, 이조참판을 지냈다.
배위는 정부인 안동김씨로 진사 득추의 딸이다.
묘소는 광주 사기막동 유좌에 있다.
응주(應疇) 1878(고종15) ~ 1957 파명:영해군(寧海君)
 영해군파 16대손이며, 자는 우경(禹卿) 이조판서 이창수(昌壽)·이병정(秉鼎)의 후손으로 조선 후기의 문인 이조묵(祖黙)의 증손자이며 완기(完器)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김해김씨이며 한말의 무신이다. 1900년 육군무관학교 졸업생(제1회)으로 그 해 6월에 대한제국 육군 참위에 취임하여 侍衛聠隊江界鎭衛隊의에서 근무하고 1902년 부위가 되면서 정3품으로 오른 후 통정대부로 승진하였다.
묘소는 충남 보령시 주산면 창암리 남전 산 31의 6에 있다.
묘소는 충남 보령시 주산면 창암리 남전 산 31의 6에 있다.
일제(日躋) 1683∼1757 파명:영해군(寧海君)
  일제(日躋) [1683(숙종 9)∼1757(영조 33)]
자는 군경(君敬), 호는 화강(華岡). 현감 언순(彦純)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정부인 해평윤씨이다.
1708년(숙종 34) 생원시에 급제하고, 1722년(경종 2) 알성 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쳐 호조참판과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이르렀고 1728년(영조 4) 기복종사(起服從事)로 46세 때 유공자로 표창코자 하였으나 이를 굳이 사양하였다.
묘소는 충북 청주시 석곡동 산6의 1이고 비갈과 석물이 있다.
배위는 정부인 문화류씨와 양주윤씨이며 2남을 두었다.
자는 군경(君敬), 호는 화강(華岡). 현감 언순(彦純)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정부인 해평윤씨이다.
1708년(숙종 34) 생원시에 급제하고, 1722년(경종 2) 알성 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쳐 호조참판과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이르렀고 1728년(영조 4) 기복종사(起服從事)로 46세 때 유공자로 표창코자 하였으나 이를 굳이 사양하였다.
묘소는 충북 청주시 석곡동 산6의 1이고 비갈과 석물이 있다.
배위는 정부인 문화류씨와 양주윤씨이며 2남을 두었다.
정기(정器) 1925∼1970 파명:영해군(寧海君)
  정기(컪器) [1925∼1970]
매촌공 교항(敎恒)의 차남이며 어머니는 양천허씨이다.
보성전문학교 법과를 졸업한 뒤 6 · 25전쟁 중 민족청년을 규합하여 단장으로서 34세에 족청(族靑) 소속으로 활동하였다. 광복 후 제헌의원에 당선되고 재무위원의 중책을 맡기도 하였다. 또 영해군 위패를 모신 소덕사(昭德祠)의 강당을 봉건 헌납하였다.
묘소는 매촌공 선영 아래인 전북 남원시 사매면 관촌리 가족묘지에 있고 묘비와 석물이 있다.
매촌공 교항(敎恒)의 차남이며 어머니는 양천허씨이다.
보성전문학교 법과를 졸업한 뒤 6 · 25전쟁 중 민족청년을 규합하여 단장으로서 34세에 족청(族靑) 소속으로 활동하였다. 광복 후 제헌의원에 당선되고 재무위원의 중책을 맡기도 하였다. 또 영해군 위패를 모신 소덕사(昭德祠)의 강당을 봉건 헌납하였다.
묘소는 매촌공 선영 아래인 전북 남원시 사매면 관촌리 가족묘지에 있고 묘비와 석물이 있다.
정린(廷麟) 1625∼1682 파명:영해군(寧海君)
  정린(廷麟) [1625(인조 3)∼1682(숙종 8)]
자는 서징(瑞徵), 호는 죽와(竹窩). 비연재공 시필(時苾)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정부인 경주정씨이다.
초서와 예서를 잘 썼고 시와 부를 잘 지었으나 과수(科數) 부족으로 과장에 불리하던 중 모친상 · 부친상 · 조모상을 겪는 동안에도 과문 공부에 전념하여 1680년(숙종 6) 56세의 나이로 정시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에 출사하였다.1681년(숙종 7)에는 내직으로 성균관 전적 · 예조좌랑 · 병조좌랑 · 춘추관 기사관을, 외직으로 옥구현감을 지냈다. 향년 58세로 별세하자 이조참판에 증직되었다.
배위는 정부인 삭녕최씨와 정부인 광주김씨이며 2남을 두었다.
묘소는 경기도 성남시 성남동 산10번지에 3위 각폄이고 묘지명은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이 지었다.
자는 서징(瑞徵), 호는 죽와(竹窩). 비연재공 시필(時苾)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정부인 경주정씨이다.
초서와 예서를 잘 썼고 시와 부를 잘 지었으나 과수(科數) 부족으로 과장에 불리하던 중 모친상 · 부친상 · 조모상을 겪는 동안에도 과문 공부에 전념하여 1680년(숙종 6) 56세의 나이로 정시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에 출사하였다.1681년(숙종 7)에는 내직으로 성균관 전적 · 예조좌랑 · 병조좌랑 · 춘추관 기사관을, 외직으로 옥구현감을 지냈다. 향년 58세로 별세하자 이조참판에 증직되었다.
배위는 정부인 삭녕최씨와 정부인 광주김씨이며 2남을 두었다.
묘소는 경기도 성남시 성남동 산10번지에 3위 각폄이고 묘지명은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이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