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천군파 현조약기에는 총 125건의 인물자료가 존재합니다.
광덕(匡德) 1690∼1748 파명:덕천군(德泉君)
  자는 성뢰(聖賴), 호는 관양(冠陽)·존재(尊齋). 경석의 현손이며 `탕평론(蕩平論)\'을 최초로 주창하였던 박세채(朴世采)의 외손자이며 대제학 진망(眞望)의 장남이다. 1722년(경종 2) 정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 설서(說書)가 되어 왕세제 영조대왕의 신임을 받았다. 노소론의 붕쟁이 심할 때 중간에 서서 극렬파들의 미움을 샀다. 소론 중 완소계열(緩少系列)의 일원으로서 송인명(宋寅命) · 조문명(趙文命) · 정석삼(鄭錫三) 등과 함께 `탕평론\'을 주장하였는데, 경종 연간 노소론 분쟁의 와중에서 조태구(趙泰耉) · 류봉휘(柳鳳輝) · 김일경 등 급소계열(急少系列)로부터 특히 심한 배척을 받았다. 지평 · 교리를 거쳤으나 민진원(閔鎭遠)을 구하려다가 사간원의 탄핵을 받아 삭직되었다. 영조대왕이 즉위하자 수찬 교리에 임명되었다가 1727년(영조 3) 호남에 기근이 심하자 별견어사(別遣御史)로 파견되었고, 돌아와 이조좌랑을 지냈다.
이때 전에 조태억(趙泰億)의 아들 지빈(趾彬)이 이조참의에 오르려는 것을 제어하여 조태억으로부터 미움을 받던 중, 홍문관 관원의 천거 시비를 계기로 조태억부자와 심히 다투다가 대사간 조지빈과 함께 파직되었다. 1728년(영조 4)에는 전라도 관찰사가 되었다. 이듬해 대대로 경작을 금해 오던 전주의 건지산(乾止山)을 내수사(內需司)에서 경작하려는 것을 거절하여 추고를 받았고, 같은 해 관찰사로서 이인좌의 난의 모의를 미리 알았으리라는 노론의 무고로 삭직당했다.
1728년 1월 호남의 감진어사(監賑御史)로 파견되었다가 그 해 3월에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 전라도 태인에서 이인좌의 일당인 박필현(朴弼顯)이 반란을 일으키자, 파직된 정사효(鄭思孝)를 대신하여 전라감사로 부임하여 반란군을 토벌하였다. 감사로 부임한 뒤에는 지방 재정 부세제도(賦稅制度) 등에 일대 개혁을 일으켜 크게 원성을 들었고, 1729년 부수찬 이양신(李亮臣)이 이인좌의 난을 계기로 소론을 몰아내기 위하여 이광좌(李光佐)를 탄핵할 때에 함께 연루되었다. 호남어사로 있으면서 역모를 미리 알았을 터인데 이를 묵인하였다는 혐의를 씌워 무고하였으나 무사하였다. 같은 해에 전주부 건지산 밑의 전답을 매수사에서 옹주방전(翁主房田)으로 인수하려는 것을 거부하고 상소를 올렸는데, 상소문에 불경스러운 말들이 있다 하여 추고를 받았고, 그때부터 영조대왕의 미움을 받았다.
이듬해 중앙에 올라와 이조참의를 지내던 중, 전라감사 시절의 사소한 잘못으로 파직되었고, 1731년에 승지를 거쳐 다시 이조참의에 임명되었다. 이듬해에 호남어사로 임명되었음에도 병을 핑계로 부임하지 않는다 하여 파직되었다. 1732년 다시 호남의 감진어사로 파견되었고, 1733년 강화유수로 임명되었으나 끝내 응하지 않아 갑산부사로 좌천되었다. 대신들이 너무 심하다고 주청하여 형조참의에 제수되었다. 그 뒤 예문관제학 · 대사헌을 거쳐 1739년(영조 15) 동지중추부사 겸 사은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고 대제학·예조참판을 지냈다. 1741년(영조 17) 이른바 위시사건(僞詩事件)이 일어났을 때, 아우인 지평 광의(匡誼)가 김복택(金福澤)을 논죄하다가 국문을 받게 되었다. 광의를 구하려고 변론하다가 정주에 유배된 뒤 다시 친국을 받고 해남으로 이배되었다. 이듬해에 풀려나와 과천에 은거하던 중, 1744년(영조 20) 서용하도록 명이 내려 한성부우윤 · 좌윤 등에 임명되었으나 관직을 사양하였다. 저서로는 <관양집(冠陽集)>이 있다.
만년에는 급소계열로 당을 바꾸었으나 중용되지 못한 채 별세했다.
배위는 풍양조씨 대사간 경명(景命)의 딸과 광주정씨 오규(五奎)의 딸이다.
묘소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 도운공 국내에 있다.
이때 전에 조태억(趙泰億)의 아들 지빈(趾彬)이 이조참의에 오르려는 것을 제어하여 조태억으로부터 미움을 받던 중, 홍문관 관원의 천거 시비를 계기로 조태억부자와 심히 다투다가 대사간 조지빈과 함께 파직되었다. 1728년(영조 4)에는 전라도 관찰사가 되었다. 이듬해 대대로 경작을 금해 오던 전주의 건지산(乾止山)을 내수사(內需司)에서 경작하려는 것을 거절하여 추고를 받았고, 같은 해 관찰사로서 이인좌의 난의 모의를 미리 알았으리라는 노론의 무고로 삭직당했다.
1728년 1월 호남의 감진어사(監賑御史)로 파견되었다가 그 해 3월에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 전라도 태인에서 이인좌의 일당인 박필현(朴弼顯)이 반란을 일으키자, 파직된 정사효(鄭思孝)를 대신하여 전라감사로 부임하여 반란군을 토벌하였다. 감사로 부임한 뒤에는 지방 재정 부세제도(賦稅制度) 등에 일대 개혁을 일으켜 크게 원성을 들었고, 1729년 부수찬 이양신(李亮臣)이 이인좌의 난을 계기로 소론을 몰아내기 위하여 이광좌(李光佐)를 탄핵할 때에 함께 연루되었다. 호남어사로 있으면서 역모를 미리 알았을 터인데 이를 묵인하였다는 혐의를 씌워 무고하였으나 무사하였다. 같은 해에 전주부 건지산 밑의 전답을 매수사에서 옹주방전(翁主房田)으로 인수하려는 것을 거부하고 상소를 올렸는데, 상소문에 불경스러운 말들이 있다 하여 추고를 받았고, 그때부터 영조대왕의 미움을 받았다.
이듬해 중앙에 올라와 이조참의를 지내던 중, 전라감사 시절의 사소한 잘못으로 파직되었고, 1731년에 승지를 거쳐 다시 이조참의에 임명되었다. 이듬해에 호남어사로 임명되었음에도 병을 핑계로 부임하지 않는다 하여 파직되었다. 1732년 다시 호남의 감진어사로 파견되었고, 1733년 강화유수로 임명되었으나 끝내 응하지 않아 갑산부사로 좌천되었다. 대신들이 너무 심하다고 주청하여 형조참의에 제수되었다. 그 뒤 예문관제학 · 대사헌을 거쳐 1739년(영조 15) 동지중추부사 겸 사은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고 대제학·예조참판을 지냈다. 1741년(영조 17) 이른바 위시사건(僞詩事件)이 일어났을 때, 아우인 지평 광의(匡誼)가 김복택(金福澤)을 논죄하다가 국문을 받게 되었다. 광의를 구하려고 변론하다가 정주에 유배된 뒤 다시 친국을 받고 해남으로 이배되었다. 이듬해에 풀려나와 과천에 은거하던 중, 1744년(영조 20) 서용하도록 명이 내려 한성부우윤 · 좌윤 등에 임명되었으나 관직을 사양하였다. 저서로는 <관양집(冠陽集)>이 있다.
만년에는 급소계열로 당을 바꾸었으나 중용되지 못한 채 별세했다.
배위는 풍양조씨 대사간 경명(景命)의 딸과 광주정씨 오규(五奎)의 딸이다.
묘소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 도운공 국내에 있다.
광려(匡呂) 1720∼1783 파명:덕천군(德泉君)
  자는 성재(聖載), 호는 월암(月巖) 혹은 칠탄(七灘). 경직의 현손이며 황해감사 진수(眞洙)의 차남이다. 학문과 문장에 뛰어났다. 1741년(영조 17) 진사시에 급제 후 두번이나 내려진 능참봉직도 마다 하고 관로(官路)를 스스로 떠나 학문에만 몰두했다. 공은 학식과 덕행이 높았고 문장이 뛰어나 당시 `사림의 제1인자\'였다고 한다. 그의 문장에 대해서 이만수(李晩秀)는 자신의 문집에서 “국조 300년의 문교를 받아 리광려선생을 낳았다.”고 하며 높이 평가하였다. 공은 인품도 훌륭하였고 해박한 지식을 겸비한 인물이었기에 신대우(申大羽)를 비롯해 따르는 제자가 많았고 그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또한 공은 일본과 활발한 교류를 하던 당시의 시대 흐름 속에서 일찍부터 책을 통하여 고구마 재배에 열성이었다고 <군방보(群芳譜)>에 기록되어 있다. 저저로는 <리참봉집(李參奉集)> 4권이 있다.
배위는 양주조씨이다.
묘소는 양주 서산에 있다.
배위는 양주조씨이다.
묘소는 양주 서산에 있다.
광명(匡明) 1701∼1778 파명:덕천군(德泉君)
  자는 양보(良輔), 호조참판 대성(大成)의 손자이고 생원 진사 진위(眞偉)의 아들이다. 서대문밖 반송방(盤松坊)에서 독자로 출생하였다. 10세에 부친상을 당하자 모친 은진송씨의 뜻에 따라 강화도 사기리에 장사지내고 그 묘 밑에서 기거하였다. 이로 인하여 그곳은 한말 건창 · 건승 형제의 대에 이르기까지 6대 250년 동안 양명학 강화학파의 근거지가 되었다.
사곡에서 10여 리 떨어진 진강에 사는 정제두에게서 양명학을 전수받았으며, 선생의 총애를 받아 손녀 사위가 되었다. 강화에 은둔하여 학문에 정진하다가 55세 되던 1755년(영조 31) 백부 진유에게 추시(追施)된 반역죄에 연루되어 갑산에 유배되었다. 24년간의 유배 끝에 세상을 떠났다. 유배 중에 지은 `증 참의 적소시가(贈 參議 謫所詩歌)\'속에 들어있는 가사 1편과 시조 3수, 산문 풍속도인 `이쥬풍속통\'이 국문학사상 중요자료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배위는 연일정씨 부사 후일(厚一)의 딸이다.
묘소는 인천시 강화군 사곡 건좌에 있고 지문은 아들 충익(忠翊)이 지었다.
사곡에서 10여 리 떨어진 진강에 사는 정제두에게서 양명학을 전수받았으며, 선생의 총애를 받아 손녀 사위가 되었다. 강화에 은둔하여 학문에 정진하다가 55세 되던 1755년(영조 31) 백부 진유에게 추시(追施)된 반역죄에 연루되어 갑산에 유배되었다. 24년간의 유배 끝에 세상을 떠났다. 유배 중에 지은 `증 참의 적소시가(贈 參議 謫所詩歌)\'속에 들어있는 가사 1편과 시조 3수, 산문 풍속도인 `이쥬풍속통\'이 국문학사상 중요자료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배위는 연일정씨 부사 후일(厚一)의 딸이다.
묘소는 인천시 강화군 사곡 건좌에 있고 지문은 아들 충익(忠翊)이 지었다.
광보(匡輔) 1687∼1745 파명:덕천군(德泉君)
  자는 좌백(左伯), 호조판서 경직의 현손이고 증 이조참판 진우(眞遇)의 장남이다. 진사시 삼제(三製)에 장원했고, 1714년(숙종 40) 증광별시 병과에 급제했으나 최석정(崔錫鼎)이 지은 제문으로 윤증(尹拯)을 제사지냈다 하여 급제중 취소당했다가 이듬해 다시 시험 봐 을과에 급제했다. 도승지를 지냈으며 이조판서에 증직되었다.
배위는 남양홍씨 우규(禹龜)의 딸과 남원윤씨 이회(以恢)의 딸이다.
묘소는 경기도 화성군 마도면 청원리에 있다.
배위는 남양홍씨 우규(禹龜)의 딸과 남원윤씨 이회(以恢)의 딸이다.
묘소는 경기도 화성군 마도면 청원리에 있다.
광사(匡師) 1705∼1777 파명:덕천군(德泉君)
  자는 도보(道甫), 호는 원교(圓嶠) 또는 수북(壽北). 예조판서 진검(眞儉)의 4남이다. 영조대왕의 등극과 더불어 소론이 실각함에 따라 벼슬길에 나아가지 못하였으며, 50세 되던 해인 1755년(영조 31) 나주 벽서사건(壁書事件)으로 백부 진유가 처벌을 당할 때 연좌되어 회령으로 유배되었다. 그곳에서도 학문으로 뛰어나 많은 문인들이 모여들자 다시 진도에 유배되어 생을 마쳤다.
정제두에게서 양명학을 배워 아들 영익(令翊)에게 전수하였다. 일찍이 윤순(尹淳)에게서 글씨를 공부하여 행서 · 초서 · 전서 · 예서 · 시 · 화에 모두 능했고, 원교체(圓嶠體)라는 독특한 필체를 이룩하여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림은 산수와 인물, 초충(草蟲)을 잘 그렸다. 인물에서는 남송원체화풍(南宋元體畵風)의 고식(古式)을 따랐으나, 산수는 새롭게 유입된 오파(吳派)의 남종화법(南宗畵法)을 토대로 하여 소박하면서도 꾸밈없는 문인 취향의 화풍을 보였다. 대표작으로는 <행서 4언시(行書四言詩)>(서울대 박물관 소장), 1746년 오대(五代)의 인물화가 왕제한(王齊翰)을 흠모하여 그렸다는 <고승간화도(高僧看畵圖)>(간송미술관 소장), <산수도>(국립 중앙박물관 소장) 등이 있다. 한편 저술을 통해 후진을 위한 귀중한 자료들을 남겼는데, 서예의 이론을 체계화시킨 <원교서결(圓嶠書訣)> <원교집선(圓嶠集選)> <동국악부(東國樂府)>가 바로 그것이다. 작품으로는 `영의정 리경석(李景奭) 표\' `우의정 정우량(鄭羽良) 지(誌)\' `병조판서 윤지인(尹趾仁) 비\' `김이원(金履元) 신도비\' `형조판서 이신의(李愼儀) 표\' 등이 있다.
배위는 안동권씨 군수 성중(聖重)의 딸과 문화류씨 참봉 종원(宗垣)의 딸이다.
묘소는 장단 거창리 사좌에 있다.
정제두에게서 양명학을 배워 아들 영익(令翊)에게 전수하였다. 일찍이 윤순(尹淳)에게서 글씨를 공부하여 행서 · 초서 · 전서 · 예서 · 시 · 화에 모두 능했고, 원교체(圓嶠體)라는 독특한 필체를 이룩하여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림은 산수와 인물, 초충(草蟲)을 잘 그렸다. 인물에서는 남송원체화풍(南宋元體畵風)의 고식(古式)을 따랐으나, 산수는 새롭게 유입된 오파(吳派)의 남종화법(南宗畵法)을 토대로 하여 소박하면서도 꾸밈없는 문인 취향의 화풍을 보였다. 대표작으로는 <행서 4언시(行書四言詩)>(서울대 박물관 소장), 1746년 오대(五代)의 인물화가 왕제한(王齊翰)을 흠모하여 그렸다는 <고승간화도(高僧看畵圖)>(간송미술관 소장), <산수도>(국립 중앙박물관 소장) 등이 있다. 한편 저술을 통해 후진을 위한 귀중한 자료들을 남겼는데, 서예의 이론을 체계화시킨 <원교서결(圓嶠書訣)> <원교집선(圓嶠集選)> <동국악부(東國樂府)>가 바로 그것이다. 작품으로는 `영의정 리경석(李景奭) 표\' `우의정 정우량(鄭羽良) 지(誌)\' `병조판서 윤지인(尹趾仁) 비\' `김이원(金履元) 신도비\' `형조판서 이신의(李愼儀) 표\' 등이 있다.
배위는 안동권씨 군수 성중(聖重)의 딸과 문화류씨 참봉 종원(宗垣)의 딸이다.
묘소는 장단 거창리 사좌에 있다.
광세(匡世) 1679∼1756 파명:덕천군(德泉君)
  자는 제경(濟卿), 호는 우헌(愚軒). 호조판서 경직의 현손이자 증 이조판서 문정(聞政)의 차남이다. 진사로서 1719년(숙종 45) 알성문과 병과에 급제, 대사간 · 호조참판 · 판윤에 이르렀고 말년에 지돈녕부사로 기로소에 들어갔다. 안악군수로 있을 때 몸이 야위었다고 귀향하려 하니 영조대왕이 `어리석도다\' 하여 호를 우헌(愚軒)이라 했다 한다.
배위는 전주류씨 부사 덕옥(德玉)의 딸과 전주최씨 첨지 후진(後進)의 딸이다.
묘소는 충주시 석교 간좌에 있다.
배위는 전주류씨 부사 덕옥(德玉)의 딸과 전주최씨 첨지 후진(後進)의 딸이다.
묘소는 충주시 석교 간좌에 있다.
광신(匡臣) 1700∼1744 파명:덕천군(德泉君)
  자는 용직(用直), 호는 항재(恒齋). 호조참판 대성의 손자이며 생원 진휴(眞休)의 아들이다. 종제인 광사(匡師) · 광명(匡明)과 함께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로부터 양명학을 배웠으며 문장과 필체가 뛰어났다. 저서로 <선고집(先考集)> 3권이 있는데 이는 유작의 사상적 체계를 엿볼수 있게 한다. `의왕주문답(擬王朱問答)\' `변도보리기설(辨道甫理氣說)\' `빙탄록(氷炭錄)\' `여양중변주리기설(與襄仲辨朱理氣說)\' `논 정하곡 학문설(論 鄭霞谷 學問說)\' 등이 수록되어 있다.
배위는 황주변씨 치은(致殷)의 딸이다.
묘소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흥동에 있다.
배위는 황주변씨 치은(致殷)의 딸이다.
묘소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흥동에 있다.
광영(光英) 1598∼1626 파명:덕천군(德泉君)
 광영(光英) [1598(선조 31)∼1626(인조 4)]
자는 영중(榮仲), 송림군의 현손으로 부원수 빈(?)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썼으며 임진왜란 때는 벼슬도 없으면서 아버지를 따라 행재소(行在所)에 나갔다. 이때 종신(從臣)의 자제들로서 부형을 모시고 온 자는 유독 공 한 사람 뿐이었다. 이에 선조대왕은 포상을 하였는데, 상례의 격을 벗어나 직접 무과에 급제시켜 벼슬을 주었다. 또 아버지를 따라 진해로 남하하면서 적과 싸워 전공을 세웠다. 적병이 물러나자 서울로 돌아와 여러 관직을 거쳐 경상 · 전라도의 병수사(兵水使)를 역임하였다.
이때 광해군의 총애를 받던 김상궁의 친족이 권세를 믿고 법을 어겼다. 김상궁은 편지로써 완만하고 부드럽게 부탁하였고 한편 광해군도 밀지를 내렸는데 공은 이것이 정당하지 않았기에 찢어버리고 나아가 형을 받기로 하였다. 이 때문에 광해군의 미움을 몹시 받다가, 서궁(西宮)에 문안하였던 일과 이이첨(李爾瞻)의 죄에 연루되어 마침내 진도로 유배되었다.
인조반정 후 연이어 장흥 · 양주 두 읍의 수령을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다가 곧 이어 강화부윤으로 임명되었다. 광해군이 강화도로 축출됨에 따라 조정에서 특별히 공을 선택한 것이었다. 공은 부임한 즉시 몸소 광해군의 거소를 자세히 살피고 유배생활의 어려움을 물어보는 등 너그럽게 대하고 음식과 의복을 풍부히 해주어 깨끗하게 보살폈다. 광해군은 괴이하게 여기고 새로 부임하여 온 부윤이 누구인가를 물었는데 리광영이라는 것을 알고 나서는 한숨을 쉬면서 말하기를 “이와 같이 착한 사람을 일찍이 내가 파면하고 배척하였으니 금일의 재앙은 마땅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배위는 남원양씨 사근(思近)의 딸이다.
묘소는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지예리 임좌에 있다.
자는 영중(榮仲), 송림군의 현손으로 부원수 빈(?)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썼으며 임진왜란 때는 벼슬도 없으면서 아버지를 따라 행재소(行在所)에 나갔다. 이때 종신(從臣)의 자제들로서 부형을 모시고 온 자는 유독 공 한 사람 뿐이었다. 이에 선조대왕은 포상을 하였는데, 상례의 격을 벗어나 직접 무과에 급제시켜 벼슬을 주었다. 또 아버지를 따라 진해로 남하하면서 적과 싸워 전공을 세웠다. 적병이 물러나자 서울로 돌아와 여러 관직을 거쳐 경상 · 전라도의 병수사(兵水使)를 역임하였다.
이때 광해군의 총애를 받던 김상궁의 친족이 권세를 믿고 법을 어겼다. 김상궁은 편지로써 완만하고 부드럽게 부탁하였고 한편 광해군도 밀지를 내렸는데 공은 이것이 정당하지 않았기에 찢어버리고 나아가 형을 받기로 하였다. 이 때문에 광해군의 미움을 몹시 받다가, 서궁(西宮)에 문안하였던 일과 이이첨(李爾瞻)의 죄에 연루되어 마침내 진도로 유배되었다.
인조반정 후 연이어 장흥 · 양주 두 읍의 수령을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다가 곧 이어 강화부윤으로 임명되었다. 광해군이 강화도로 축출됨에 따라 조정에서 특별히 공을 선택한 것이었다. 공은 부임한 즉시 몸소 광해군의 거소를 자세히 살피고 유배생활의 어려움을 물어보는 등 너그럽게 대하고 음식과 의복을 풍부히 해주어 깨끗하게 보살폈다. 광해군은 괴이하게 여기고 새로 부임하여 온 부윤이 누구인가를 물었는데 리광영이라는 것을 알고 나서는 한숨을 쉬면서 말하기를 “이와 같이 착한 사람을 일찍이 내가 파면하고 배척하였으니 금일의 재앙은 마땅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배위는 남원양씨 사근(思近)의 딸이다.
묘소는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지예리 임좌에 있다.
광의(匡誼) 1697∼1746 파명:덕천군(德泉君)
  자는 군방(君方), 호는 철면자(鐵面子). 대제학 진망의 아들이며 광덕(匡德)의 아우이다. 생원으로서 1740년(영조 16) 증광시 병과에 급제, 지평 벼슬을 하고 있을 때에 영조대왕의 금령을 무릅쓰고 김복택(金福澤)에게 형벌을 더 주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려 흑산도에 유배되었고 배소에서 세상을 떠났다.
배위는 의령남씨 석명(錫鳴)의 딸과 함양박씨 상태(尙泰)의 딸이다.
묘소는 공주 양야면 감성리에 있다.
배위는 의령남씨 석명(錫鳴)의 딸과 함양박씨 상태(尙泰)의 딸이다.
묘소는 공주 양야면 감성리에 있다.
광찬(匡贊) 1702∼1766 파명:덕천군(德泉君)
  자는 양중(襄仲), 호는 중옹(中翁). 세마 진급(眞伋)의 차남이다. 20세에 사마 양시에 급제하였고 28세에 삼제(三製) 문과에 장원하였으며 36세인 1738년(영조 14)에 문과 전시에 연중(連中)하였으나 관은 정자(正字)에 머물렀다. 문장과 재능이 빼어났고, 양명학자로서 원교 광사(匡師), 항재 광신(匡臣)과 더불어 학문을 논했다. 아들인 진사 양익(良翊)이 집필한 <중옹실적(中翁實蹟)>을 보면 공의 사상과 효행을 알 수 있다. 1755년 나주 벽서사건의 여파로 가난(家難)을 당할 때 갑산(甲山)으로 유배되어 별세하였다. 유묵으로는 <문장종원(文章宗源)> <부사시(賦辭詩)> <소율(蘇律)> <건곤(乾坤)> 2권 등이 후손에게 전해지고 있다.
배위는 고령신씨 의집(義集)의 딸이다.
묘소는 양주 설곡에 있다.
배위는 고령신씨 의집(義集)의 딸이다.
묘소는 양주 설곡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