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평대군파 현조약기에는 총 168건의 인물자료가 존재합니다.
존중(存中) 1703∼1761 파명:광평대군(廣平大君)
존중(存中) [1703(숙종 29)∼1761(영조 37)]
자는 경이(敬以), 호는 척암(쾩庵) · 척재(쾩齋) · 하당(荷堂). 대군의 12대손이며 녹천 유(濡)의 손자이고 서윤(庶尹) 현숭(顯崇)의 아들이다. 도암(陶庵) 이재(李縡 : 1678∼1746)의 문인이다.
어려서부터 준수하여 경사(經史)를 읽기만 하면 모두 외웠다. 1735년(영조 11) 감시(監試) 진사(進士)에 장원으로 합격하여 정릉 참봉을 거쳐 사어가 되어 서연관을 겸했다. 1750년(영종 26) 합천군수로 3일제(三日製)에 뽑히고 또 식년문과에 장원하였다. 당시의 대제학 조관빈(趙觀彬 : 1691∼1757)이 치하하기를 “리존중이 과장에 장원하였으니 전하께서는 현명한 신하를 얻으셨고 신도 또한 문형을 전할 사람을 얻었습니다.”하였다.
양장원의 특전으로 통정대부가 되어 여주목사에 임명되고 이어서 병조참지 · 동부승지 등을 역임하고 1751년(영조 27) 대사간이 되어 “권신 김상로(金尙魯 : 1702∼?) 형제가 신임사화(辛壬士禍 : 1721∼1722)를 일으켜 나라의 큰 공을 세운 노론 4대신(四大臣 : 리이명, 리건명, 조태채, 김창집)을 모함하여 극형을 당하게 한것은 무리.”라고 탄핵했다가 도리어 대신을 능욕하였다 하여 거제도에 유배되었다. 유배지에 가던 중 바닷가에 이르러 배를 타고 외양(外洋)에 나서매 비가 쏟아지고 바람이 불며 우뢰가 대작하고 파도가 크게 일어나며 괴물이 나타나는지라 배에 있던 사람들 모두 무서워서 얼굴빛이 창백하여 어찌 할 바를 몰라 떨고 있는데 공은 태연히 괴물을 바싹 들여다 보며 “옛 사람들은 우저(牛渚)에서 물소를 불태우고 조양(潮陽)에서 악어를 쫓았다 하는데 우린들 이런 일쯤이야 두려워할손가” 하고 주위를 안심시켰다.
적소(謫所)에 이르러서는 <주역(周易)> 읽기를 쉬지 않았다. 얼마 후 아버지가 별세하자 특별히 돌아가 장례지내기를 허락받고 장례가 끝나자 배소로 돌아왔다. 이 뒤부터는 원통하고 슬퍼 다시는 세상에 나올 생각이 없어졌다. 조석 · 삭망 · 절일에 반갱(飯羹)을 탁자 위에 차려 놓고 북향하여 울부짖으며 살고 있는 초가집도 수리를 하지 않으며 말하되 “죄인이 거처하는 곳이 이만하면 족하다.”하였다. 1753년(영조 29) 예조참의에 제수되었는데 공은 상서 하기를 “신이 조정에서는 불충한 신하가 되었고 집에서는 불효자가 되었으니 인도가 끊어지고 천리가 멸한지라 다시 무슨 면목으로 벼슬길에 나아갈 수 있겠습니까. 이제 신이 평안히 할 방도는 오직 몸을 송추(松楸)에 의지하고 병든 어미를 간호하여 영원히 성세의 버린 물건이 되어서 여생을 마침이 있을 따름입니다.”하였다. 만년에 강교(江郊)에 살면서 학문에 전념하며 여가에 조각배를 타고 강을 거슬러 오르내리며 학식과 덕망을 갖춘 부제학을 역임한 청헌공(淸?公) 윤심형(尹心衡 : 1698∼1754), 호판을 역임한 문경공(文敬公) 이태중(李台重 : 1694∼1756), 부제학을 역임한 충정공(忠正公) 김시찬(金時燦 : 1708∼1767) 등과 더불어 교의를 더욱 돈독히 하며 지냈다. 정조 때 자헌대부 이조판서 겸 대제학에 추증되었다. 저서 <척재집(쾩齋集)>이 있다.
묘소는 서울시 강남구 수서동 광수산 선영 갑좌에 있다.
자는 경이(敬以), 호는 척암(쾩庵) · 척재(쾩齋) · 하당(荷堂). 대군의 12대손이며 녹천 유(濡)의 손자이고 서윤(庶尹) 현숭(顯崇)의 아들이다. 도암(陶庵) 이재(李縡 : 1678∼1746)의 문인이다.
어려서부터 준수하여 경사(經史)를 읽기만 하면 모두 외웠다. 1735년(영조 11) 감시(監試) 진사(進士)에 장원으로 합격하여 정릉 참봉을 거쳐 사어가 되어 서연관을 겸했다. 1750년(영종 26) 합천군수로 3일제(三日製)에 뽑히고 또 식년문과에 장원하였다. 당시의 대제학 조관빈(趙觀彬 : 1691∼1757)이 치하하기를 “리존중이 과장에 장원하였으니 전하께서는 현명한 신하를 얻으셨고 신도 또한 문형을 전할 사람을 얻었습니다.”하였다.
양장원의 특전으로 통정대부가 되어 여주목사에 임명되고 이어서 병조참지 · 동부승지 등을 역임하고 1751년(영조 27) 대사간이 되어 “권신 김상로(金尙魯 : 1702∼?) 형제가 신임사화(辛壬士禍 : 1721∼1722)를 일으켜 나라의 큰 공을 세운 노론 4대신(四大臣 : 리이명, 리건명, 조태채, 김창집)을 모함하여 극형을 당하게 한것은 무리.”라고 탄핵했다가 도리어 대신을 능욕하였다 하여 거제도에 유배되었다. 유배지에 가던 중 바닷가에 이르러 배를 타고 외양(外洋)에 나서매 비가 쏟아지고 바람이 불며 우뢰가 대작하고 파도가 크게 일어나며 괴물이 나타나는지라 배에 있던 사람들 모두 무서워서 얼굴빛이 창백하여 어찌 할 바를 몰라 떨고 있는데 공은 태연히 괴물을 바싹 들여다 보며 “옛 사람들은 우저(牛渚)에서 물소를 불태우고 조양(潮陽)에서 악어를 쫓았다 하는데 우린들 이런 일쯤이야 두려워할손가” 하고 주위를 안심시켰다.
적소(謫所)에 이르러서는 <주역(周易)> 읽기를 쉬지 않았다. 얼마 후 아버지가 별세하자 특별히 돌아가 장례지내기를 허락받고 장례가 끝나자 배소로 돌아왔다. 이 뒤부터는 원통하고 슬퍼 다시는 세상에 나올 생각이 없어졌다. 조석 · 삭망 · 절일에 반갱(飯羹)을 탁자 위에 차려 놓고 북향하여 울부짖으며 살고 있는 초가집도 수리를 하지 않으며 말하되 “죄인이 거처하는 곳이 이만하면 족하다.”하였다. 1753년(영조 29) 예조참의에 제수되었는데 공은 상서 하기를 “신이 조정에서는 불충한 신하가 되었고 집에서는 불효자가 되었으니 인도가 끊어지고 천리가 멸한지라 다시 무슨 면목으로 벼슬길에 나아갈 수 있겠습니까. 이제 신이 평안히 할 방도는 오직 몸을 송추(松楸)에 의지하고 병든 어미를 간호하여 영원히 성세의 버린 물건이 되어서 여생을 마침이 있을 따름입니다.”하였다. 만년에 강교(江郊)에 살면서 학문에 전념하며 여가에 조각배를 타고 강을 거슬러 오르내리며 학식과 덕망을 갖춘 부제학을 역임한 청헌공(淸?公) 윤심형(尹心衡 : 1698∼1754), 호판을 역임한 문경공(文敬公) 이태중(李台重 : 1694∼1756), 부제학을 역임한 충정공(忠正公) 김시찬(金時燦 : 1708∼1767) 등과 더불어 교의를 더욱 돈독히 하며 지냈다. 정조 때 자헌대부 이조판서 겸 대제학에 추증되었다. 저서 <척재집(쾩齋集)>이 있다.
묘소는 서울시 강남구 수서동 광수산 선영 갑좌에 있다.
강중(강중) 1699∼1758 파명:광평대군(廣平大君)
건하(乾夏) 1835∼ ? 파명:광평대군(廣平大君)
경하(景夏) 1811∼1891 파명:광평대군(廣平大君)
경하(敬夏) 1847∼ ? 파명:광평대군(廣平大君)
계하(啓夏) 1841∼1908 파명:광평대군(廣平大君)
광익(光翼) 1579∼1656 파명:광평대군(廣平大君)
광종(光鍾) 1868∼1945 파명:광평대군(廣平大君)
교하(敎夏) 1842∼1898 파명:광평대군(廣平大君)
구익(求益) 1552∼1620 파명:광평대군(廣平大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