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직관아 검색창

* 검색어는 두글자 이상 입력해 주세요.
* 목록에서 관직의 제목을 클릭하면 설명이 나옵니다.
* 검색어 예시: 감찰사 공조 관찰사 교서랑...
* 검색어를 포함한 모든 관직이 검색됩니다.
  예를 들어 검색어로 대부 검색시 가덕대부, 가선대부...등이 모두 검색됩니다.

총 1443개의 관직자료가 존재합니다.

전회(典會)
조선 때 내수사(內需司)에 속한 종7품 관직(官職).
전훈(典訓)
조선 때 종학(宗學 : 왕족의 교육을 맡아보던 학교)의 정5품 벼슬.
절도사(節度使)
고려 때 주(州)의 장관인 외관직으로 후에 안무사로 고쳤다. 조선 때 지방에 두었던 무관으로 병마 수군절도사로 구분된다.
절제도위(節制都尉)
조선 때 절도사에 속한 종6품의 무관직.
절제사(節制使)
고려 때 원수(元帥)를 개칭한 이름으로 각 주(州) 부(府)의 장관직. 조선 때 각 지방에 두었던 정3품의 무관직.
절충장군(折衝將軍)
조선 때 정3품의 당상관(堂上官)으로 무반관계(武班官階).
정1품(正一品)
대군(大君), 군(君 : 정1품부터 종2품까지 있음), 공신(功臣) 및 왕비의 아버지는 부원군(府院君)이다.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우의정(右議政), 도제조(都提調 : 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사부(師傅 : 세자시강원의 관직으로서 영의정, 좌 · 우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위(尉 : 왕의 사위로서 공주에 장가든 자에 정1품 혹은 종1품을 제수한다), 감사(監事 : 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정2품(正二品)
군(君), 위(尉 : 옹주에게 장가든 자에게 처음 제수한다), 좌참찬(左參?), 우참찬(右參?), 판서(判書), 대제학(大提學), 지사(知事), 판교(判校 : 규장각의 관직), 판윤(判尹), 좌빈객(左賓客), 우빈객(右賓客), 도총관(都摠管).
정3품(正三品)
부위(副尉 : 군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처음 제수함), 첨위(僉尉 : 현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종3품까지 있음), 도정(都正), 대사간(大司諫), 대사성(大司成), 참의(參議), 부제학(副提學), 도청(都廳), 도정원정(都正院正), 좌유선(左諭善), 우유선(右諭善), 첨지사(僉知事), 직각(直閣 : 종6품까지 있음), 도승지(都承旨), 좌승지(左承旨), 우승지(右承旨), 좌부승지(左副承旨), 우부승지(右副承旨), 동부승지(同副承旨), 좨주(祭酒), 찬선(?善), 보덕(輔德), 겸보덕(兼輔德), 판결사(判決事), 대장(大將), 정(正), 시(寺), 원(院), 감(監), 사(司) 등의 관직, 좌통례(左通禮), 우통례(右通禮), 판교(判校), 수찬관(修撰官), 편수관(編修官 : 종3품까지 있음), 제검(提檢 : 종3품까지 있음), 선전관(宣傳官 : 종9품가지 있음), 별장(別將 : 훈련도감), 천총(千摠 : 훈련도감), 상호군(上護軍), 중군(中軍), 진영장(鎭營將 : 목사가 겸임함), 목사(牧使), 사림위장(司林衛將), 부사(府使 : 대도호부), 국별장(局別將), 별후부천총(別後部千摠), 기사장(騎士將), 관성장(管城將).
정3품(正三品)=목사(牧使))
외관(外官)---광주(廣州 : 광주목사에 한하여 종2품), 여주(驪州), 파주(坡州), 양주(楊州), 충주(忠州), 청주(淸州), 공주(公州), 홍주(洪州), 상주(尙州), 진주(晋州), 성주(星州), 나주(羅州), 제주(濟州), 광주(光州), 능주(綾州), 황주(黃州), 해주(海州), 원주(原州), 안주(安州), 정주(定州), 길주(吉州).그런데 위에 있는 부윤, 목사의 고을로서 즉 관찰사가 있는 고을은 그 고을의 부윤이나 목사는 관찰사가 겸임하고 따로 두지 않는다.
정3품(正三品)=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외관(外官)---안동(安東), 창원(昌原), 강릉(江陵), 영흥(永興), 영변(寧邊 : 영변은 절도사가 겸임).
정4품(正四品)
수정(守正), 전첨(典籤), 사인(舍人), 장령(掌令), 시강관(侍講官), 응교(應), 진선(進善), 필선(弼善), 겸필선(兼弼善), 사예(司藝), 사업(司業), 봉례(奉禮), 호군(護軍), 별제(別提 : 수성금화사의 관직), 첨정(僉正 : 종4품까지 있음), 선전관(宣傳官), 도선(導善), 우후(虞侯), 제검(提檢 : 종4품까지 있음).
정5품(正五品)
영(令 : 종친부의 벼슬), 전부(典簿), 검상(檢詳), 정랑(正郞), 지평(持平), 좌익위(左翊衛), 우익위(右翊衛), 사의(司議), 헌납(獻納), 시독관(侍讀官), 교리(校理), 겸교리(兼校理), 문학(文學), 겸문학(兼文學), 직강(直講), 기주관(記注官 : 종5품까지 있음), 찬의(?儀), 별좌(別坐 : 종5품까지 있음), 전훈(典訓), 전수(典需), 사직(司直).
정6품(正六品)
감(監 : 종친부의 벼슬), 좌랑(佐郞), 감찰(監察), 사평(司評), 정언(正言), 검토관(檢討官), 수찬(修撰), 사서(司書), 겸사서(兼司書), 전적(典籍), 기사관(記事官 : 정9품까지 있음), 교검(校檢), 전악(典樂), 사회(司誨), 별제(別提 : 종6품까지 있음), 평사(評事), 사과(司果), 장원(掌苑), 사포(司圃), 좌익찬(左翊?), 우익찬(右翊?).
정7품(正七品)
주서(注書), 봉교(奉), 대교(待 : 정9품까지 있음), 박사(博士), 사변가주서(事變假注書), 사경(司經), 설서(說書), 겸설서(兼說書), 자의(諮議), 전률(典律), 참군(參軍), 좌부수(左副率), 우부수(右副率), 낭청(郞廳), 기사관(記事官), 수문장(守門將).
정8품(正八品)
사록(司錄), 저작(著作), 설경(說經), 학정(學正), 부직장(副直長), 좌시직(左侍直), 우시직(右侍直), 전음(典音), 별검(別檢 : 종8품까지 있음), 사맹(司猛).
정9품(正九品)
주학훈도(籌學訓導), 율학훈도(律學訓導), 정자(正字), 전경(典經), 검열(檢閱), 좌세마(左洗馬), 우세마(右洗馬), 학록(學錄), 부봉사(副奉事), 전성(典聲), 천문학훈도(天文學訓導), 지리학훈도(地理學訓導), 명과학훈도(命課學訓導), 의학훈도(醫學訓導), 한학훈도(漢學訓導), 몽학훈도(蒙學訓導), 왜학훈도(倭學訓導), 여진학훈도(女眞學訓導), 사용(司勇).
정광(正匡)
고려 때 문반(文班)의 정2품 하(下) 관계(官階). 후에 향직 2품.
정당문학(政堂文學)
고려 때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종2품 문관 벼슬. 조선 때 문하부(門下府) 소속으로 정2품관이었다.
정덕대부(靖德大夫)
조선 때 의빈(儀賓)에게 주었던 종1품 관계(官階). 광덕대부의 고친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