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직관아 검색창

* 검색어는 두글자 이상 입력해 주세요.
* 목록에서 관직의 제목을 클릭하면 설명이 나옵니다.
* 검색어 예시: 감찰사 공조 관찰사 교서랑...
* 검색어를 포함한 모든 관직이 검색됩니다.
  예를 들어 검색어로 대부 검색시 가덕대부, 가선대부...등이 모두 검색됩니다.

총 1443개의 관직자료가 존재합니다.

유기장군(遊騎將軍)
고려 때 종5품의 무산계(武散階).
유덕대부(綏德大夫)
조선 때 종친(宗親)에게 주었던 종1품 품계(品階). 소덕대부의 고친 이름.
유학(幼學)
용어[用語]사대부의 자손으로서 벼슬하지 않은 선비.
율학교수(律學授)
조선 형조(刑曹)의 율학청(律學廳)에서 법률을 연구한 종6품 관직.
율학박사(律學博士)
고려 때 상서형부(尙書刑部)와 국자감(國子監)에 소속된 종8품직.
율학훈도(律學訓導)
조선 때 형조(刑曹)의 율학청(律學廳)에 소속된 정9품 관직.
응교(應)
고려 때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에 속한 정5품 관직(官職). 조선 때 홍문관(弘文館) 예문관(藝文館)에 속한 정4품 벼슬.
의금부(義禁府)
조선조 초에는 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라고 하였고 태종 때는 의용왕부(義勇王府)라고 하였다가 의금부로 고쳤는데 금오(金吾)라고도 한다. 검찰청과 같다. 여기서는 죄인을 잡고 다스린다. 여기의 관직은 판사(判事), 지사(知事), 동지사(同知事), 경력(經歷), 도사(都事).
의덕대부(宜德大夫)
조선 때 문관과 종친에게 주던 종1품의 관계(官階). 유덕대부의 고친 이름.
의동삼사(儀同三司)
고려 때 정1품 하(下)의 문산계(文散階).
의빈부(儀賓府)
조선조 초에 부마부(駙馬府)를 1466년(세조 12)에 의빈부로 고쳤는데 여기는 부마에 대한 일을 관장하는 관청으로서 다음과 같은 관원이 있다. 위(尉), 부위(副尉), 첨위(僉尉), 경력(經歷), 도사(都事).
의승대장(義僧大將)
조선 때 승군(僧軍)을 지휘하던 승장(僧將).
의영고(義盈庫)
기름, 꿀, 후추 등을 맡은 창고로서 그 관원은 영(令), 주부(主簿), 직장(直長), 봉사(奉事).
의인(宜人)
조선 때 외명부(外命婦 : 왕족, 종친, 문무관 부녀자에게 주는 봉작)의 봉작으로 정 종6품 부인직.
의정부(議政府)
고려 때는 도평의사(都平議司)라고 하였던 것을 1400년(정종 2)에 의정부로 개칭하였는데, 모든 정치와 모든 관리를 총관(總管)하는 최고의 관청이었다. 도당(都堂), 황각(黃閣)이라고 약칭(略稱)하기도 하였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벼슬이 있다.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우의정(右議政), 좌찬성(左?成), 우찬성(右?成), 좌참찬(左參?), 우참찬(右參?), 사인(舍人), 검상(檢詳), 사록(司錄).
이기(理驥)
조선 때 사복시(司僕寺)의 종8품 잡직.
이마(理馬)
조선 때 사복시(司僕寺)에 소속되어 임금의 말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직. 품계는 6품이 1명, 8품이 2명, 9품이 1명이었으며 모두 체아직(遞兒職)이다.
이방(吏房)
조선 때 승정원(承政院) 지방관청에 있었던 육방(六房)의 하나.
이부(吏部)
[고려시대 관직]관리의 인사(人事) 관계와 지방의 관서를 감독하는데 지금의 내무부와 총무처를 합친 격이다.
이사(貳師)
조선 때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속한 종1품 관직.